내용요약 기업대출 잔액 역대 최고…연체도 급증
4월 가계대출, 지난달 대비 5.1조 증가
가계대출에 이어 기업대출과 연체가 급증하면서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권의 건전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계대출에 이어 기업대출과 연체가 급증하면서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권의 건전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기업대출 규모가 역대급으로 치솟고 있다. 대출액은 2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연체액 역시 급증하고 있다. 

이에 금융권 안팎에선 가계대출도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와 금융 여건이 악화되고, 기업실적 저하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은행권의 건전성 악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이 금융감독원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4월 말 현재 기업대출 규모는 1344조 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대출 규모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최대 규모다.

세부적으로는 중소법인이 606조 4000억원(45.1%·118만 780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사업자가 453조 1000억원(33.7%·433만 100건) △대기업이 285조 3000억원(21.2%·3만 3400건) 순이다.  

기업대출은 최근 5년 동안 꾸준한 오름세다. 2019년 말 906조 5000억원이었던 기업대출액은 2020년 말(1020조 5000억원)에는 1000조원을 넘어섰다.  이어서 2021년 말 1113조 6000억원 △2022년 말 1221조 7000억원 △2023년 말 1305조 3000억원으로 증가하더니 올해 4월(1344조 8000억원)에는 지난해 1년치 대출액을 넘어섰다.  

역대 최대 수준의 규모 기업대출에 맞춰 연체 역시 급증하고 있다.

기업대출 연체 규모는 2021년 말 2조 9000억원(2만 4600건)을 시작으로 △2022년 말 3조 2000억원(4만 9500건) △2023년 말 5조 3000억원(9만 6100건) 그리고 올해 4월까지는 7조 3000억원(11만 2500건)으로 치솟았다. 

이 중 중소법인 기업대출 연체금액이 4조 2000억원(57.5%)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사업자가 2조 8000억원(38.4%), 대기업이  3000억원 (4.1%) 순으로 집계됐다. 

기업대출은 코로나 이후 운영자금 수요 등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크게 확대됐으며 최근엔 부동산·건설업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은 2019년 159조 8000억원에서 올해 4월에는 285조 3000억원으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중소기업 대출은 408조 3000억원에서 606조 4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업종별 기업대출 잔액을 보면, 부동산·건설업 대출은 경기침체와 저금리,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338조원을 시작으로 2020년 392조원, 2021년 460조원, 2022년 534조원 그리고 지난해에는 563조원까지 증가했다.  
특히 부동산·건설 업종의 대출 레버리지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연체기업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레버리지 비율은 2019년 137%에서  2023년에는 209%까지 상승했으며, 연체기업의 비율 역시 1.95%에서 3.59%까지 올랐다. 대출 레버리지, 연체기업 비율 모두 업종 최대치다. 

개인사업자들도 사정은 좋지 않다. 개인사업자의 대출 연체액은 2023년 4월 말 1조 8000억원에서 2024년 4월 말에는 2조 8000억원으로 53.6%나 급증했다. 올해 1분기 말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54%로 2023년 4분기(0.48%)보다 0.06%p 오르며 2012년 4분기(0.6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도별 기업대출 현황. /강민국 의원실 제공
연도별 기업대출 현황. /강민국 의원실 제공

더 큰 문제는 이들 업종의 전망도 밝지 않다는 것이다. 

KDB미래전략연구소에 따르면 , 부동산·건설 업종 대출 레버리지가 큰 폭 확대되는 동시에 연체기업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부동산 경기에 따른 부실 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채무상환능력도 크게 저하되고 있는 상황에서 3고(고금리·고환율·고유가) 현상 장기화와 경기 침체 등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가계대출도 증가하고 있다.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02조 7020억원으로, 4월 말(698조 30억원)보다 4조 6990억원이 증가했다. 4월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03조 6000억원으로 3월에 비해 5조1000억원이 늘었다.

이처럼 기업과 가계대출 모두 증가세를 보이면서 은행권과 금융당국의 건전성 관리가 어느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역대 최고 수준의 기업대출에 연체 규모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0% 가까이 증가하는 가운데 업황부진과 매출 감소로 힘들어하는 개인사업자의 연체 증가율이 가장 커 상환능력 부족에 따른 폐업 등, 부실화 확산으로 은행권 건전성에 비상등이 켜지지는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감독원은 연체우려 차주 등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은행권의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를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 및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경수 KDB미래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기업금융의 급격한 확대로 금융부문의 취약성이 증대되고 있어, 경제·금융 여건 악화, 기업실적 저하 등을 고려할 때 기업 신용위험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평가했다. 

이어서 그는 "부동산·건설업 재무건전성 저하 및 금융시장으로의 리스크 전이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으며, 일시적 자금부족 기업들의 연착륙을 지원하는 동시에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지원하는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관계부처간 협의와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 등을 통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며, "금리하락에 대한 기대감 지속,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 등으로 인해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의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가계부채가 GDP 성장률 내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연체 우려 차주 등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은행권이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상·매각 등)를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하는 한편,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